본문 바로가기
이런저런 정보글/건강

가을철 신증후군(유행성)출혈열, 랩토스피라증 증상과 예방

by 콤꼬띠엔 2020. 10. 11.

이번 시간은 지난 시간에 다루었던 가을철 진드기 매개 감염병포스팅에 이어서 가을철 야외 활동 시 주의해야 하는 설치류 매개 감염병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설치류 매개 감염병

 

 설치류 매개 감염병은 주로 등줄쥐, 집쥐 등 설치류에 전파되며 사람에게 감염을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설치류 매개 감염병은 증상이 코로나 바이러스 증상과 유사하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감염병은 신증후군출혈열렙토스피라증 등이 대표적이며, 가을철 농작물 작업이나 야회 활동으로 감염병이 많이 발생하고 있으므로 주의가 요구됩니다. 특히 9 ~ 11 사이 환자가 많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신증후군출혈열(유행성출혈열)

 

 신증후군출혈열(Hemorrhagic Fever with Renal Syndrome)은 한타바이러스 속에 속하는 한탄 바이러스, 서울 바이러스에 의해 나타나는 급성 발열성 질환입니다. 유행성출혈열 많이 알고 있는 질환입니다.

 

한탄 바이러스는 우리나라 들쥐의 72~90% 차지하는 등줄쥐가 매개 종이며, 서울 바이러스의 경우 도시의 집쥐, 애급쥐 등이 바이러스를 전파합니다. 10 ~ 12월에 특히 집중적으로 환자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신증후군출혈열(유행성출혈열) 감염경로    출처 : 질병관리청

 

 

설치류가 한타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증상이 나타나지 않지만, 타액, 소변, 분변 통하여 바이러스를 체외로 분비하고 이것이 건조되어 먼지와 함께 떠다니다가 사람의 호흡기를 통해 감염됩니다.

 

잠복기 평균 2 ~ 3 무증상부터 사망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증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치사율은 5% 이내이고 발열, 출혈 소견, 신부전 주요 3 증상입니다. 이밖에도 오한, 두통, 요통, 근육통, 안면홍조, 결막충혈, 의식저하, 경련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예방수칙

(1) 감염병 유행 시기(10 ~ 12) 산이나 풀밭에 가는 것을 피해야 합니다.

 

(2) 쥐와의 접촉을 피하고 설치류의 배설물이나 타액 등의 접촉을 피해야 합니다.

 

(3) 야외활동 귀가 시에는 옷을 세탁하고, 샤워 또는 목욕을 해야 합니다.

 

(4) 야외활동이 빈번한 군인, 농부, 실험 종사자 등의 경우 적기에 예방접종을 받습니다.

 

렙토스피라증

 

 렙토스피라증(Leptospirosis) 렙토스피라균((Leptospira species) 감염에 의한 인수공통질환입니다.

 

설치류(들쥐의 경우 10% 감염)와 소, 돼지, 개 등의 일부 감염된 동물들이 렙토스피라균을 소변으로 배설하여 흙, 진흙. 지하수, 개울, 논둑 물, 강물 등을 오염시킵니다.

 

렙토스피라증 감염경로      출처 : 질병관리청

 

사람과 동물은 오염된 소변에 직접 접촉하거나 오염된 물이나 환경에 간적접으로 노출될 때(상처 난 부위) 감염됩니다. 사람을 통한 전파는 거의 없습니다.

 

잠복기는 평균 10(2 ~ 14)이며 주요 증상으로는 고열, 두통, 오한, 근육통, 구토, 황달, 적안, 복통, 설사, 발진 등이며 가벼운 감기 증상부터 치명적인 웨일씨병(황달, 신부전, 출혈 등)까지 다양한 증상을 보이기도 합니다.

 

치사율은 적절한 치료를 하지 않을 경우 20 ~ 30%에 달하는 위험한 질환입니다. 9~ 11월에 환자가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있습니다.

 

예방수칙

 

(1) 고여있는 물이나 균 오염이 의심되는 물(장소)에서 수영을 하지 않습니다.

 

(2) 고여있는 물에서 작업을 해야 할 경우에는 피부 보호를 위하여 반드시 장화를 착화해야 합니다.

 

(3) 오염된 물에 신체가 노출되었을 경우, 반드시 깨끗이 씻어냅니다.

 

(4) 홍수 이후 벼 베기 / 벼 세우기 또는 들쥐 포획사업 등의 작업 후 발열이 발생할 경우, 빠르게 인근 의료기관에서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지금까지 설치류 매개 감염병과 증상 예방수칙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예방수칙을 잘 기억하시고 안전하고 건강한 가을을 보내시기 바랍니다.

 

앞에서 다루었던 가을철 진드기 매개 감염병(쯔쯔가무시, SFTS)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의 포스팅을 확인하세요.

2020/10/10 - 가을철 외출 쯔쯔가무시, SFTS 증상과 예방수칙

 

가을철 외출 쯔쯔가무시, SFTS 증상과 예방수칙

 안녕하세요 아침저녁으로 서늘하게 느껴지는 가을 날씨인 요즘 여가 시간을 어떻게 보내고 계신가요? 집에만 있기 지겹거나 답답하신 분들은 야외로 외출을 생각하게 됩니다. 이번 포스팅은 �

sam6lee.tistory.com

 

이상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